지난 2주간 miniERP를 만들고 기능정의용 작은 프로그램을 하고 있었습니다. 모아시스를 대체해야겠다는 것보다는 그냥 작은 프로그램으로 요즘 출판에 맞는 형태로 전부 바꿔서 작업을 테스트 했습니다.
일단 작은 단위 테스트가 되어야 그 다음에 묶는 일을 할 수 있고 가능하면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설치형 AI에 연동해서 필요한 정보를 일종의 세트로 만들어 넣으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예를 들어 ISBN만 넣으면 정보를 모두 수집해서 도서 홍보용 블로그 글, 트위터, SNS에 쓸 글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요즘 유튜브 보면 그런게 많이 보이죠? 그런데 그걸 제대로 학습해서 다시 결과물을 뽑으려면 프로그램을 따로 해야합니다.
GUI로 자동화 하고 싶죠 안됩니다. ^^
output2.txt 라는 파일은 포맷이 전부 구글 NotebookLM에 맞춘 데이터를 Yes24에서 받아와서 봄봄스쿨의 전체도서를 가지고 대화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파일은 md 및 json 구조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게 거꾸로 인간이 가공해서 넣어줘야합니다. 대부분 이걸 몰라서 텍스트 블록을 넣기만 합니다. 그래서는 온전한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게 별로 없습니다.
AI 데이터 input에 가장 최적화된 문서 포맷은 markdown, json인데 대부분 출판사는 준비가 안되어 있어요. 그래서 제가 아예 다른 전자책 컨버터 및 전자책 제작 툴도 함께 하려는 이유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이런거예요. 책 한 권이 되었건 100권이 되었건 마케팅적인 접근으로 보면 데이터가 유의미한 정보와 연결되어야 그걸 기반으로 경영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마케팅을 해야할지 책정가를 개정하면 판매가 어떻게 될지 창고비용을 줄일 수 있을지 쇼핑몰을 직접 운영했을 때 스마트스토어, 쿠팡, 기타등등 어디서 무엇이 팔리고 있는지 지역별로 어떤 책이 판매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GEO 지역 정보에서 서점 그리고 온라인에서 수 많은 서평, 도서블로그, 유튜브 등의 검색을 통해서 내 책이 어디에 노출되고 있는지 찾아냅니다. 그런데 이건 사람이 할 일은 아니고 일정부분 유료API를 써야되는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어찌됐건 책에 대한 모든 정보 뿐 아니라 현재 판매지수로 특정도서를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하고 있습니다. 어떤 도서가 반응이 있다면 그 도서의 예상판매추이나 이벤트 등 함께 분석할 수 있게 합니다.
그동안은 자사책 이외에는 하고있지 않았는데 이 기능에 대해서는 고민중입니다. 왜냐하면 모아서 볼 수 있게 한다고 데이터는 저희게 아니라서 API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공공DB를 활용해볼 계획입니다.
지금 거의 모든 업체들의 DB를 봐야하는데 그것도 저희가 일절 보지 않는 형태로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제공해도 데이터는 아예 안보는 설치형 DB와 데이터 암호화해서 서버에 백업하는 형식을 취할 예정입니다.
결론은 자동화가 되었건 어떤 일이 되었건 모듈화해서 기능을 어떤업체건 추가로 제공하기 시작하면 함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게 할 생각입니다.
최근에 캔바, 어도비익스프레스에 도서정보를 바로 가짜 3차원 이미지로 도서정보 포함해서 넣는 것과 판매데이터를 기준으로 책 순위가 바뀌는 것을 만들고 있는데 매일매일 도서판매에 대한 영상이 자동으로 생성되게 하려고 합니다.
앞으로 뭘 해야할까
'출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럭키비키 - 장원영 효과 출판사는 얼마를 벌었을까? (1) | 2025.01.20 |
---|---|
miniERP 출판사가 AI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2 (0) | 2025.01.16 |
중앙도서관 보관순위, 대출순위 100 한강작가 2등?! (0) | 2025.01.14 |
집근처 출판사랑 Cafetalk®? (0) | 2025.01.14 |
출판사 업체 선정의 기준 인쇄견적 프로그램을 하면서... (0) | 2025.01.14 |